

보리에 식이섬유가 많은 것은 많이들 알고 계시지요
백미보다 10% 정도 많은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보리는 식이섬유 공금원으로 중요한 식품이지요
보리에는 끈적거리는 성질이 있는 수용성 식이섬유인 베타 - 글루칸은 소장 내에서 영양소흡수를 방해하지만
대장에 도달하면 끈적거리는 점질성의 수용성 식이섬유인 베타 - 글루칸은 대장 내 미생물에 의해 빠르게 발효되고 여러 가지 휘발성 물질을 생성하게 되지요
이때 장 내 가스를 유발하게 되고 방귀를 뀌게 되는 것이지요
보리밥을 먹으면 방귀가 잦아지게 되는 것이지요
방귀를 뀌게 하는 발효 덕분에 아세테이트와 프로피온산 등 짧은 사슬의 지방산들이 발효부산물로 생성되고 이것이 간에서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저해하지요
부티르산과 같은 지방산이 대장 내에 증가하게 되면 대장암에 대한 보호효과를 발휘하므로 보리의 장내 발효는 생리적으로도 대단히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네요
이제 보리밥 먹고 방귀 뀌는 걸 불편해하지 않겠지요
내 몸을 지켜주는 현상이니 오히려 고마워해야겠지요
그런데 보리로 죽을 쑤어 먹으면 방귀가 덜 나오기도 하고 보리의 모든 영양을 섭취할 수 있다고 하네요
보리에 식이섬유가 두 종류가 있는데 수용성과 불용성이 있어요
불용성 식이섬유는 소화기관을 통과할 때 많은 수분을 흡수함에 따라 대변의 양을 증가시키고 장내 통과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생리작용을 나타내는 반면 수용성 식이섬유는 콜레스테롤 저하작용과 장내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발효하지요
보리에 들어 있는 식이섬유는 포만감을 주어 음식물의 섭취량을 줄여 주지요
특히 점질성이 높은 수용성 식이섬유인 베타 - 글루칸은 소장 내에서 전분, 단백질, 지질, 등 소장을 통해 쉽게 흡수되는 영양성분을 둘러싸서 이들 성분이 체내에 흡수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해하여 소화 흡수를 지연시키므로 당뇨나 비만 환자에게 바람직한 식품이지요
보리는 에너지 원이 어려운 식품으로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고 효과가 있다고 해요
보리쌀을 씻을 때는 박박 문질러 씻어 주어요
박박 문질러 씻어도 백미처럼 영양이 훼손되지 않아요
잘 씻은 보리쌀을 오랫동안 불려서 다시 한번 헹구에 냄비에 넣고 물을 충분히 부어 보리가 푹 무르도록 삶아 주세요
푹 무른 보리쌀을 밥을 지을 것은 채반에 물기를 빼서 밀폐용기에 두고 백미와 섞어서 밥을 하면 부드럽고 소화 잘 시키는 보리잡곡밥이 되고요 깡보리밥은 말 그대로 보리 외에 다른 곡식은 혼합하지 않고 오직 보리 한 가지로 밥을 짓는 것이랍니다
보리밥과 된장국이나 강된장이 궁합이 잘 맞아요
시래기 된장국에 푹 퍼진 보리밥을 먹은 사람은 속 불편하다고 하는 사람이 없답니다
덜 퍼진 보리밥은 속이 편치 안 아사 보리밥을 거부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지요
보리밥 먹고 뀌는 방귀는 건강해지고 있다는 신호라고 봅니다
내 건강을 위해 방귀 트고 살면 안~ 될~까요


보리 종류는
겉보리, 찰보리, 찰보리할맥, 찰보리압맥, 쌀보리, 압맥등으로 알고 있어요
다음 포스팅에서 보리종류를 더 알아볼게요
추운 날씨 건강조심 하시고 항상 건강하세요
'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008]붕어빵 / 겨울간식 붕어빵 / 길거리 음식 붕어빵 / 붕어빵 재료 / 혼족들을 위한 붕어빵기계와 재료들 / 붕어빵 유래 (96) | 2023.11.22 |
---|---|
[00007] {보리 알아보기 3} 보리의종류와 쓰임새 (47) | 2023.11.21 |
[00005]보리밥이 왜 쌀밥보다 건강에 좋다고 할까?/보리의 역사 / 보리영양과 효능 / { 보리 알아보기(1)} (42) | 2023.11.18 |
[00004]고급 요리 / 일품요리 / 잡채의 유래 / 궁중요리 잡채 만들기 / 불지않는 잡채 조리하는 방법 / 당면을 넣기 시작한 잡채는 (97) | 2023.11.16 |
[00003]"햄" 햄볶음밥 만들기 / 어른이 매콤한 햄 볶음밥 만들기 / 언제나 인기있는 햄 (46) | 202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