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보리쌀종류

[00007] {보리 알아보기 3} 보리의종류와 쓰임새 우리나라 속담에 겉보리 서말만 있어도 처가살이 안 한다.라는 속담이 있어요 하찮은 먹거리라도 있으면 처가에 신세를 지지 않겠다는 뜻이지요 며느리가 시집살이를 불편해하듯이 사위도 처가살이는 불편했다는 거지요 이런 속담을 보면서 예나 지금이나 시댁도 처가도 불편하기는 매 한 가지라고 봐야겠어요 보리를 알아보면서 겉보리의 우수성을 알게 되었고 보리 중에 겉보리는 요즘 건강식품으로 대접받고 있어요 겉보리를 하찮은 먹거리로 대접받고 있었고 거친 식감에 한동안 외면을 받기도 하고 생산을 거의 하지 않았던 식품이지요 겉보리 성숙 후에도 겉껍질이 덜어지지 않는 겉보리와 껍질이 잘 떨어져 나가는 쌀보리가 있어요 겉보리는 도정을 해 놓아도 거뭇거뭇한 보리특유의 색이 진하게 있어요 도정한 겉보리를 늘보리라고 해요 포장된 보.. 더보기
[00006]보리에 많은 식이섬유 / 보리밥을 먹으면 왜 방귀를 잘 뀌는지 그이유를 알아 볼께요 { 보리 알아보기 2} 보리에 식이섬유가 많은 것은 많이들 알고 계시지요 백미보다 10% 정도 많은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보리는 식이섬유 공금원으로 중요한 식품이지요 보리에는 끈적거리는 성질이 있는 수용성 식이섬유인 베타 - 글루칸은 소장 내에서 영양소흡수를 방해하지만 대장에 도달하면 끈적거리는 점질성의 수용성 식이섬유인 베타 - 글루칸은 대장 내 미생물에 의해 빠르게 발효되고 여러 가지 휘발성 물질을 생성하게 되지요 이때 장 내 가스를 유발하게 되고 방귀를 뀌게 되는 것이지요 보리밥을 먹으면 방귀가 잦아지게 되는 것이지요 방귀를 뀌게 하는 발효 덕분에 아세테이트와 프로피온산 등 짧은 사슬의 지방산들이 발효부산물로 생성되고 이것이 간에서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저해하지요 부티르산과 같은 지방산이 대장 내에 증가하게 되면 대장..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