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리

[00035] 아미노산 풍부한 전복, 진시황제의 불로장생 식품 전복, 간편한 점심식사 전복해물밥 만들기,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
새해 첫 주 계획하신 대로 잘하고 계시지요
여러분 눈으로 드실지라도 맛있는 전복밥을 했어요
이 포스팅을 보시는 분들 눈으로 먹고 힘 많이 얻으세요  "기" 팍팍 넣어 포스팅 시작 할게요

살아있는 전복 보기엔 좀 유쾌하지 않아요
자연상태와 세척한 전복비교

전복 종류와 서식지

전복의 종류는 전 세계적으로 100여 종에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크기가 작은 오븐자기(떡조개는 제주지방 사투리)와 마대오븐 자기를 비롯하여 참전복(북방전복), 둥근 전복, 말전복, 왕전복 등이 발견되었어요. 전복의 종류에 따라 사는 곳이 서로 다르고, 참전복은 가장 낮은 곳에 살며, 그다음이 둥근 전복이며, 대형종인 말전복은 가장 깊은 곳에서 서식을 해요. 왕전복은 오랫동안 말전복과 구분 없이 취급되다가 1979년에 신종으로 분리되었어요. 수온이 낮은 북쪽해역에 사는 참 전복이 둥근 전복의 변이종으로 밝혀져 북방전복으로 명명되었어요.
전복은 연체동물 복족류에 속하는 조개로 크고 넓적한 발을 움직여 기어 다녀요. 타원형 껍데기 위에는 구멍들이 줄지어 위로 솟아 있는데, 이구멍 등뒤 쪽으로 몇 개를 제외하고 막혀있는데 열려있는 구멍이 출수공이며 배설물도 이곳을 통해 밖으로 내 보내요. 커다랗게 열려있는 진주광택이 나는 껍데기는 자개, 나전, 세공, 단추, 등 공예품의 원료로 쓰여요.
암수 구별하기와 먹이
자웅이체인 전복은 외부 생식기가 발달되지 않아 늦가을에서 초겨울까지 산란하며 수정을 해요. 암수구별은 북방전복의 경우 패각의 안쪽에 있는 생식선이 녹색을 띠는 것이 암컷이며, 황색을 띠는 것이 수컷이지요. 말전복은 색에 따라 암수를 구분하는데 푸른 껍데기가 수컷이고 , 황갈색 껍데기는 암컷으로 구분해요. 수컷의 육질은 단단해 횟감으로 적합하고 암컷의 육질은 연해 가열조리용에 적합해요.
전복은 1년에 2 ~3cm 정도 자란다고 해요. 전복머리에는 한 쌍의 촉각(더듬이)과 눈이 있으며 아가미 역시 한상으로 좌우대칭으로 되어있어요. 전복이 위험을 느끼면 패각 속으로 더듬이와 눈을 집어넣은 채  바닥면에 딱 달라붙는데 맨손으로 떼어내기가 어려워 해녀들은 도구를 사용하여 채집을 하지요. 전복의 먹이는 미역, 다시마, 감태, 등 갈조류를 먹이로 먹고살아요. 전복은 갑조류가 무성한 곳에 자리 잡으면 잘 옮겨 다니지 않고 집단생활 서식을 해요.


전복의 이모저모
중국의 진시황제는 불로장생을 위해 전복을 먹었다고 전해지지요. 또 [자산어보 ] 에는 전복을 복어라는 이름으로 소개하며 살코기는 맛이 달아서 날로 먹어도 좋고 익혀먹어도 좋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말려서 포를 만들어 먹는 것이라고  했어요.
전복은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영양이 체내에서 잘 흡수되어 회복기의 환자나 노약자를 위한 건강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전복에 들어 있는 타우린, 아르기닌, 메티오닌. 시스테인 등의 아미노산은 특유의 오돌오돌하게 씹히는 촉감과 어울려 맛을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 줘요.

전복을 피해야 할 시기는 산란기인데요,  참전복의 (산란기 기준 9 ~ 11월 ) 산란기에는 내장에 독성이 있으므로 생식은 피하고 살짝 익혀서 먹을 것을 권장하지요

오늘의 요리
좋은 전복이 있으니 전복밥을 해 보았어요



미역과 두부는 음식 궁합이 서로 맞아요 "두부미역국" = 불린 미역을 국간장과 들기름에 볶다가 물을 붓고 두부를 넣고 끓이세요 마늘즙 조금 넣고 국간장으로 간을 맞추면 두부미역국 다 끓였어요. "참" 쉽지요
전복이 먹이가  김과 미역이고 전복밥에 미역국은 초고의  궁합이지요. 따뜻한 전복밥을 양념간장하고  김을 함께 싸 먹으면 별미 중 별미가 되지요. 간단한 점심식사로 가끔씩 해 먹는 메뉴랍니다



전복밥 재료
전복 2개, 느타리버섯 3줄기,  당근 1cm 두께 한 토막, 알마늘 10알, 새송이버섯 조금, 양파 조금,

잡곡쌀 불린 것 1컵, 굵은소금 4/1작은술, 맛술 (청주) 2큰술, 생수 = 쌀 위에 자작하게 부어 준다
밥 짓기
1 ) 전기압력솥에
물이 자작하게 부어 주세요 (쌀과 물의 높이가 같으면 돼요)
2 ) 맛술과 소금을 넣어 주세요. 소금은 천일염 5알 정도면 알맞아요
3 ) 버섯, 마늘, 당근, 양파, 전복을 올리고 솥뚜껑을 닫고 백미 취사를 해 주세요
4 ) 밥을 짓는 동안 양념간장을 만들어 주세요
양념장 재료
대파 잘게 썰은 것, 마늘 다진 것, 고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진간장,

모두 섞으면 양념장 끝 ~~~ 전복밥 비벼먹거나 마른김 구워서 먹을 때 잘 어울리는 양념간장 황금 레시피로  만들어 먹고 있어요


재료 손질한 것은 아래 사진에 있어요. 보시면 도움이 될 거라 재료 손질은 따로 설명하지 않았어요.

전복은 솔로 문지르면 살아있는 전복은 전복살이 단단해지는 걸 볼 수 있어요. 싱싱한 전복에서만 볼 수 있어요. 양치하듯이 잘 닦아주세요

전복껍데기 등 쪽으로 있는 구멍이 있어요. 열려있는 곳이 배설을 하는 곳이네요. 무엇이든 하나씩 알아가는  솔솔 재미 가나요.


대파 오래 보관할 때는 냉동으로 해보세요
저는 대파를 가격이 저렴할 때 구입해서 썰어 냉동해 두고 사용을 해요. 싱싱한 파를 보여드리지는 못해 아쉬어도 파의 향도 살아있고 조리할 때 편리해서 좋아요. 양념간장에 사용한 파도 냉동파를 사용했어요.  대파를 냉동시킬 때는 잘 다듬고 깨끗이 세척해서 물기를 닦아서 썰어 냉동하면 두고두고 편하게 사용해서 이 방법을 알려드려요. 용기는 밀폐용는 냉동가능한 것으로 사용하시고 지퍼팩을 사용할 때도 냉동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실 것을 권하고 싶어요.

전복은 모든 사람에게 이로운 해산물  싱싱한 것으로 잘 섭취하여 건강하셨으면 좋겠어요


글을 보시고 공감해 주시면 힘이됩니다.
댓글은 이웃에 소통이 되어서 좋아요.
구독과 공감은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