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

[00005]보리밥이 왜 쌀밥보다 건강에 좋다고 할까?/보리의 역사 / 보리영양과 효능 / { 보리 알아보기(1)}

나의봄날 2023. 11. 18. 20:32
728x90
반응형

보리 하면 서민들의 대표 주식이었던 시절이 있었지요  
그 시대는 문물이 발전되지 않아서 지구상 모든 나라가 풍족하지는 않았던 시대였지요
한나라의 지도자가 누가 되느냐에 따라 나라 경쟁력과 문화가 바뀌게 된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마음속에 영웅은 독재자라고 장기집권자라는 원성을 들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이면 모두 우리나라를 부흥시킨 이분을 생각할 겁니다
그분이 우리의 풍요한 삶의 바탕을 만들어 주셨기 때문에 지금 우리는 선진국 대열에 서 있지요

이야기가  잠깐 길을 잃었어요
다시 제자리로 갑니다




보리의 역사는 어떻게 될까요?
인류가 보리를 식용으로 경작한 것은 기원전 7천 년경으로
우리나라에도 기원전 1500년경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어요

보리는 유럽에서도 한때 가난한 사람들의 주식으로 이용되어 가난의 상징이 되기도 했어요
보리는  보통 식생활에서 부족하기 쉬운 여러 종류 비타민류, 무기성분들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그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건강식품으로 인정을 받고 있지요

우리나라 보리는 추운 겨울 동안 자라 다른 작물에 비해 병충해에 강하지요
그러므로 농약 살포가 거의 없어서 무공해 식량자원으로 서도 그 가치가 높지요
영양학적 우수성 외에도 대기 중 많은 양의 탄산가스를 작물의 광합성에 활용하여 공기정화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친환경작물이지요

보리쌀에 함유된 영양학적으로 중요한 무기질로서는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등이 함유되어 있어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부족하기 쉬운 무기질인 칼슘과 철의 함량은 쌀에 비해 8배 및 5배 높아요
보리쌀에 함유된 비타민 B, 비타민 2 및 나이아신등인데 이들은 쌀에 비해 1.5~2배 이상 함유되어 있고  
보리쌀에 함유된 비타민류는 쌀과 달라서 도정한 후에도 보리쌀 내부에 분포되어 있어서 도정하더라도 손실이 적다고 해요


보리의 성분은 조단백질이 9.5~11.8%
지방질이 1.1~1.2%로 쌀보다 높고
당질은 77% 정도로 살의 81.6% 보다 적지만 섬유질은 보리가 훨씬 많아요
보리는 밀가루의 5배 쌀의 16배에 해당하는 많은 양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콜레스테롤의 함향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진 수용성 식이섬유는 다른 어느 식품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어요

보리에 함유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이라 부르는 물질은 암 예방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를 하지요
폴리페놀화학물에 면역증강효과, 항알레르기작용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폴리페놀화학물은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능력과 항산화성을 갖고 있어요
식품에 있는 천연 항산화제는 적당한 양을 주기적으로 섭취할 경우 노화와 관련된 성인병을 줄이는데 중요한 인자입니다


지인들과 보리밥집에서 식사를 했어요




다음 편에 보리로 또 올게요    🚲  🚲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