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

[00002]약과 유래 / 유밀과 / 약과의 명칭의 뜻 / 달콤하고 쫀득한 약과만들기

나의봄날 2023. 11. 13. 10:56
728x90
반응형

 
 
약과는 언제 먹어도 맛있지요
약과를 즐겨 먹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유명 약과 업체들은 약게팅을 할 정도로 약과의 인기는 계속 이어지고 있지요

약과의 유래

우리나라에 특색 있는 과자로 유래도 매우 깊은 약과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고려시대 때 널리 유행하여 왕족과 귀족 사원과 민가에서 즐겨 만들어 먹었던 과자로
정성을  들여 만드는 과자로 세계에서 으뜸의 가치가 있는 과자라고 할 수 있어요
명절이나 잔치, 통과의례, 제사, 등에 사용했으며
불교에서는 고기와 생선을 올리지 않으므로 약과모양을 과일이나 생선 짐승모양을 본떠 만들어 그 대체품으로 이용되기도  했다고 해요
그러다 보니 맛있는 약과를 만들기위해 약과의 재료인 곡물과 꿀, 기름등을 많이 소비하게 되었지요
1192년 고려 명종 22년에는 약과의 재료 소비가 늘어 생활을 어렵게 한다고 만드는 것을 금지시키기도 했다고 하네요
그러니까 1192년 전부터 약과의 인기는 상당했던 것 같아요
고려 공민왕 2년 (1353년) 에도 유밀과 제조 금지령을 내렸다네요

TV드라마 환혼에서도 약과가 많이 등장을 하였지요
약과의 역사는 800년이 넘는다는 거지요
전통있는 고급스러운 과자입니다
고려시대 약과의 모양은 과일이나 새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으나 훗날에는 고이는 풍습이 생겨나면서  넓적하게 약과를 자르게 되었어요
근대에 들어 약과의 모양, 약과재료들, 성형틀(몰드) 까지도 생기게 되었다고 봅니다


약과이름이 생긴 유래

약과의 다른이름은 조과라고 하기도 해요
정약용 의 저서 (아언각비) 에서 약과의 약은 꿀을 뜻하고  과는 과일모양을 본땃던  것이라 하지요
원래의 약과는 높이 쌓을수가 없었어요
고이는 풍습이 생기면서 약과모양이 바꾸었는데 이름은 그대로 남아 전해지고 있어요


🍓아언각비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 (1762~1836)이 어휘에대한 풀이와 올바른 용법을 제시하여  1819년에 저술한 유서🍓


약과 재료의 설명

밀은 춘하추동을 거처서 익기 때문에   네계절 기운을  모두 받고
꿀은 모든 약중에 가장좋으며 꿀은 백약의 으뜸이라고 하며
기름은 벌레를 죽일 수 있으며 살충하고 해독할 수 있어요
"약"과 같기 때문에 약과라고 했어요


과자처럼 먹고  약이되는 약과 는 언제봐도 먹고 싶어져요  


                                                                                   약과 만들기


150도에서 약과 튀기는중